2018년 경주 신라 문화제

포대화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9-01-07 11:30 조회86회 댓글0건

본문

작  가 : 경상북도 석공예 최고장인 한 동 식

석  종 : 경주 남산석

작품해설

포대를 메고 다니는 고승의 모습을 조각한 조각상이다. 포대는 당말 ~ 송초 교체기 중간에 낀 오대시대를 살다 간 중국 불교승려다. 생김새는 저 조각과 같이 묘사되지만, 실은 저리 웃는 모습과는 조금 거리가 멀어 우락부락했다고 하거니와, 저 몸매가 되기까지 게걸스레 걸리는대로 남들한테 얻어 먹으나,  반면 베풀기를 잘했다 하며 특히 어린이들한테 잘했다 한다. 활동시기가 저러하니 포대가 신라시대 불교에는 절대 나타날 수 없고, 실제로도 그러하다. 고려 무신 정권기를 살다간 이규보에서 어떤 고려 사찰에 안치한 포대화상  조각을 익살조로 읋은 시가 있으니, 이로써 보면 고려 중기 이전 포대를 숭상하는 전통이 한반도에도 전래됐음이 분명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